본문 바로가기
금융,경제

[공유숙박 사업자를 위한 세금 가이드] 에어비앤비부터 세무 신고까지 완벽 정리!

by 아름다운 일꾼 2025. 6. 24.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름다운 정보나라에 아름다운 일꾼 입니다 :)

 

최근 여유 공간을 여행객에게 임대해 수익을 창출하는 '공유숙박'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에어비앤비(Airbnb) 같은 플랫폼을 통해 손쉽게 숙박업을 시작할 수 있지만, 세금 신고는 반드시 준비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공유숙박 사업자가 꼭 알아야 할 세무 정보를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 공유숙박이란?

공유숙박이란?
개인이 소유한 유휴 공간(방, 집 등)을 플랫폼을 통해 유상으로 제공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 형태입니다.


👉 대표 플랫폼: 에어비앤비(Airbnb), 야놀자, 여기어때 등


📝 사업자등록, 꼭 해야 하나요?

✔️ 사업자등록은 필수입니다!
숙박 공간을 계속적·반복적으로 유상 제공하는 경우, 반드시 사업자등록을 해야 합니다.

구분 내용
신청 시기 사업 개시일로부터 20일 이내 신청
신청 방법 홈택스(온라인) 또는 세무서 방문
필요 서류 사업자등록신청서, 신분증, 임대차계약서(임차 시)
업종 코드 551007 (숙박공유업)

💰 소득세는 어떻게 신고하나요?

공유숙박 수입은 사업소득으로 분류되며,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소득세 계산 방식

내용 설명
장부 기장 방식 총수입금액 - 실제 필요경비 = 소득금액
예: 청소비, 관리비, 임대료, 플랫폼 수수료 등
기준경비율 적용 수입금액 - 주요경비 - (수입금액 × 기준경비율)
※ 주요경비: 임차료, 인건비 등
단순경비율 적용 수입금액 - (수입금액 × 단순경비율)
※ 경비율은 업종에 따라 상이
 

👉 장부 기록이 가장 유리하며, 실제 지출을 반영한 세금 계산이 가능합니다.


💵 부가가치세 신고는?

공유숙박도 숙박 서비스 제공에 해당하므로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입니다.

설명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
대상 연매출 8천만 원 이상 연매출 8천만 원 미만
세율 10% 업종별 부가율 적용
매입세액 공제 가능 일부 제한 or 불가
신고 시기 1월 25일, 7월 25일(반기별)  
 

✅ 신규 사업자라면 간이과세자 등록을 고려해볼 수 있어요. 하지만 세금계산서 발급은 불가하니 거래처가 요구할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


✅ 공유숙박 운영 시 꼭 챙겨야 할 것들

  • 세금계산서, 현금영수증, 카드 매출 영수증 등 모든 증빙자료 보관 필수!
  • 장부를 쓰지 않으면 불리한 경비 인정 방식(경비율 적용)을 따르게 됩니다.
  • 홈택스에서 간편하게 사업자등록, 부가세/종합소득세 신고 가능!
  • 에어비앤비 수입도 '국내소득'으로 과세 대상입니다.

☎️ 도움받을 곳

기관 연락처/웹사이트
국세청 상담센터 ☎️ 126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개인의 공간을 활용해 수익을 얻는 공유숙박은 충분히 매력적인 사업입니다. 하지만 세무 지식 없이 진행하면 과태료나 세금 추징 등의 불이익이 따를 수 있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내용을 바탕으로, 투명하고 안정적인 공유숙박 사업을 운영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